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덕배의 블로그

웹개발자가 알아야 할 MobaXterm에 대해서 알아보자 본문

서버

웹개발자가 알아야 할 MobaXterm에 대해서 알아보자

김덕배_KDB 2023. 7. 8. 14:55
반응형

mobaxterm
mobaxterm

Mobaxterm이란?

리눅스에 Telnet, SSH 접속을 위해 Putty나 XShell을 깔고, FTP/SFTP접속을 위해 FileZilla를 깔고, 그 외 다양한 원격 접속용 프로그램을 복수개 설치하여 관리하면 많이 복잡해지고 번거로워진다. MobaXterm(모바엑스텀)을 사용하면 Linux 환경의 SSH 접속, FTP, SFTP 등을 이 프로그램 1가지로 할 수 있다. 따라서 MobaXterm은 현존하는 최고의 SSH 접속 Tool이다.

 

 

 

Mobaxterm의 특징

  • SSH 원격 접속 가능
  • FTP / SFTP 가능
  • 윈도 즐겨 찾기처럼 서버를 등록하고 로그인 및 비밀번호 등 접속 정보를 저장 후 자동 로그인 가능
  • 보안 키 또한 저장 가능하여 매우 편리함. (putty로 ppk 변환하지 않고. key 또는. pem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 윈도만 지원 가능
  • MobaXterm은 SSSH, Telnet, Rsh, Xdmcp, RDP, VNC, FTP, SFTP, Serial, File, Shell, Brower.. 등 다양한 접속방식과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터미널을 제공하며, 다른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들에 비해 훨씬 강력하고 편리한 세션 연결을 지원한다.

다양한 접속 방법
다양한 기능의 접속

 

 

여기서

FTP란? -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이며, 빠른 파일 전송이 주된 목적이다. 쉽게 말해서 Linux(원격 서버)에서 내 PC로 양 방향으로 파일 전송

SFTP란? - SSH의 파일 전송 버전을 뜻하고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Mobaxterm 설치 방법

1. 설치 방법은 간단하다. 아래 사이트에 들어가 무료버전을 다운로드한다.

https://mobaxterm.mobatek.net/

 

MobaXterm free Xserver and tabbed SSH client for Windows

The ultimate toolbox for remote computing - includes X server, enhanced SSH client and much more!

mobaxterm.mobatek.net

 

2. 무료 버전과 프로 버전과의 차이점은 세션 12개, SSH 터널 2개, 매크로 4개 사용, Tftp 360초 제한이 있다.

 

설치 사진
설치 사진

 

설치 방법
설치 방법

 

3. 두 가지 설치 방식이 있는데 그냥 편하게 이용하고 싶다면 우측의 Installer edition을 다운로드하면 된다. 다운로드한 zip파일을 압축해제하고. msi 파일을 실행하면 바로 MobaXterm을 설치해 이용할 수 있다. Portable edition(무설치 버전)을 사용하면 다운로드 후 설치 없이 즉시 사용할 수 있고, Dropbox, Onedrive와 같은 클라우드에 넣고 동기화시켜 여러 컴퓨터에서 동일한 환경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MobaXterm 한글 인코딩 설정

  1. 그대로 쓰면 한글 파일 명이 출력이 안되고 문자가 깨지기에 Character set 변경을 해줘야 한다.
  2. 세팅 옵션에서 터미널 탭으로 간 후 Term Charset을 클릭 후 EUC-KR으로 변경 후 저장하게 되면 해당 캐릭터 셋으로 세팅되어 서버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SSH 접속하기

ssh 접속하기 전에 ssh가 무슨 뜻인지 알고 가보자

SSH (Secure Shell)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는 Putty, FileZilla, MobaXterm, Git bash 등이 있다.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접속을 하려면 항상 SSH가 필요하다는 것만 기억하면 된다.

 

ssh 화면
ssh 화면 창

 

  1. 실행 창의 왼쪽 상단에 'Session' 아이콘을 클릭한다.
  2. SSH, Telnet, Rsh, RDP, FTP, SFTP... 등 여러 가지의 원격 접속 방법을 지원하는데, 그중 SSH를 클릭한다.
  3. 자주 사용하는 서버에 대해 'Bookmark settings' 탭을 이용하면 나중에 손쉽게 서버 접속을 할 수 있다.
  4. Session name에 적당한 이름을 기입하고 'Create a desktop shortcut to this session' 버튼을 클릭하면 저장이 완료된다.
  • Remote host : 리눅스 주소(도메인 또는 IP)
  • Specify username : 접속할 계정 ex) root
  • Port : SSH 접속 포트
  • Execute command : 세션에 초기 접속 시 실행할 명령어 (선택)
  • User private key : 보안키 사용 (선택)

접속 방법
접속 방법

 

  1. 세션을 추가한 후 최초로 로그인을 하시게 될 경우 자동 패스워드 저장 여부를 물어보게 된다.
  2. 여기서 Yes를 누르면 향후 같은 세션에 접근하실 때 별도로 패스워드 입력 없이 자동 로그인이 가능해진다.

접속 된 화면
접속 방법

 

  1. 자동 로그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선 보안을 위해 마스터 패스워드를 등록해야 한다.
  2. 적당히 패스워드를 지정하고 OK 버튼을 누르면 다음번에 북마크에 등록된 섹션을 클릭만 하게 되면 별도의 작업 없이 바로 ssh 접속되는 걸 볼 수 있을 것이다.

파일 리스트 구조
파일 리스트

 

  1. 추가적으로 왼쪽 디렉터리 화면은 연결한 세션이 SFTP가 지원이 가능할 경우 SSH 접속 시 자동으로 연결이 되게 된다.
  2. 왼쪽 사이드바 디렉터리 부분에 로컬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드래그 & 드롭하면 업로드가 되며 원격지 -> 로컬로도 가능하다.

 

 

삼바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한다면 큰 용량을 옮기는 게 가능하다.

 

 

Mobaxterm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알아갈 것이 참 많은 거 같다.